Careet

[데이터] Z세대 31.5% ‘이것’이 있어야 직장생활에 안정감을 느낀다

“MZ세대 데이터 모음” 시리즈

2023.10.12 (Thu) / 4 min read

20 27 5294
Z세대가 취업 전선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직장이라는 공간은 Z세대부터 전기·후기 밀레니얼 세대, X세대, 86세대까지 세대 담론의 주축이 되었습니다. 이에 직장은 세대 차이가 가장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공간 중 하나로 꼽히는데요. 과연 이들은 직장생활을 하며 서로 다른 가치관만 지니고 있을까요?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발행한 <세대별로 선호하는 직장의 조건과 직장생활> 보고서에서는 회사 생활에 있어 세대마다 다른 모습뿐만 아니라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본 보고서를 바탕으로 세대별 직장생활을 비교 분석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들어가기 전에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기존 세대 구분 기준과 달리, 본 조사에서는 직장인 설문조사 가능 연령 및 고용법상 정년 기준을 고려해 다음과 같이 조사 대상자를 설정했습니다.
 ✔️ Z세대(1996~2004년 출생자), 
후기 밀레니얼(1989~1995년 출생자), 전기 밀레니얼(1981~1988년 출생자), X세대 (1970~1980년 출생자), 86세대(1964~1969년 출생자)


1. 수용할 수 있는 조직 문화, 세대별로 모두 비슷하다
출처 인사이트보고서 <세대별로 선호하는 직장의 조건과 직장생활>, 대학내일20대연구소

 개인이 수용할 수 있는 조직 문화를 물었을 때, 모든 세대에서 높은 순위권을 차지하며 유사한 경향성을 보인 네 가지 문화가 있었습니다. 먼저 ‘눈치 보지 않고 퇴근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Z세대는 65.3%, 후기 밀레니얼은 66.8%, 전기 밀레니얼은 61.8%, X세대는 63.4%, 86세대는 60.1%였는데요. ‘점심시간에 혼자 밥 먹어도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 역시 모든 세대에서 50%가 넘는 수용률을 보였습니다. 이외에도 ‘맡은 업무에 지장이 가지 않는다면 기간과 사유에 대한 제약 없이 연차를 사용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정도나 ‘과하지 않다면 반바지, 샌들 등 자유로운 복장으로 출근해도 된다’는 문항 또한 모든 세대에서 비슷한 순위를 차지했습니다.


지금 멤버십 가입하면
캐릿의 모든 콘텐츠 열람 가능!

멤버십 가입하기​

클릭하시면 같은 키워드의 콘텐츠만 모아볼 수 있습니다.

위로 이동 아이콘 좋아요
북마크하기
다시 보고 싶은 기사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하이라이트 설명
캐릿은 하이라이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저장하고 싶은 문장을 드래그해서 마킹)
사용하기

업무에 당장 써먹을 수 있는 요즘 트렌드가 궁금하다면?

  • Notice

    <오늘만 무료> 서비스 종료 안내

  • Contact Us

    원하는 주제를 건의하거나 더 궁금한 점을 문의하고 싶을 때,
    광고, 마케팅, 컨설팅 문의도 캐릿은 언제든 환영합니다.

  • About Careet

    트렌드 당일 배송 미디어 캐릿은 MZ세대 마이크로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달하기 위해 늘 최신을 다합니다.

  • FAQ

    궁금한 사항을 모아 한번에 보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