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비 시대! 오픈런의 의미가 바뀌었다?
데이터로 보는 하반기 소비자 심리 분석

목차
1. 다이소 vs 올리브영, 화장품 언급량 승자는?
2. 백화점에서 다이소로, 달라진 오픈런의 의미는?
3. 요즘 중·고등학생은 어떤 브랜드를 좋아할까?
4. 부산에서 피자, 제주에서 해장국을 찾는 이유
5. 저속노화 열풍, F&B 소비에 미친 영향은?
6. 친환경 대표 브랜드는 ○○○? 연령대별 1위 비교


이 콘텐츠를 꼭 읽어야 하는 분

  • 2025 상반기 소비 데이터를 통해 Z세대 인사이트를 얻고 싶은 분
  • 뷰티, 식생활, 여행 등 각 소비 영역에서 나타난 변화가 궁금한 분
  • Z세대와 10대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를 알고 싶은 업계 관계자


2025년 Z세대 소비자에게는 어떤 특징이 나타나고 있을까요?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올해 상반기 발행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Z세대의 소비 행태를 살펴봤습니다. 저소비 코어 트렌드로 인해 달라진 소비 행태와 뷰티, 식생활, 여행, 친환경 등의 다양한 소비 영역, 10대 중·고등학생 소비자까지 폭 넓게 분석했습니다. 관심 있는 주제가 있다면 저장 후 두고두고 활용해 보세요!


1. 다이소 vs 올리브영, 화장품 언급량 승자는?

다이소 뷰티템이 핫하다는 소식은 이제 다들 알고는 계시죠. 그런데 도대체 얼마나 핫한 걸까요? 소셜 빅데이터로 분석해 보니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어요. 소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LUCY 2.0을 활용해 다이소 관련 상품의 연관어 유형을 분석한 결과, 2021년 전체의 6.3%에 불과했던 뷰티 상품의 비율은 2024년 18.3%로 약 3배 늘었습니다. 취미·여가(26.2%) 상품과 생활·주방용품(20.6%)에 이어 다이소 관련 상품 3위에 해당하는데요. 다이소 뷰티템의 화제성이 커지면서 소셜 미디어 언급량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죠.

출처 소셜 빅데이터로 본 저소비 코어 트렌드


특히 뷰티 영역의 대표적인 유통 채널인 올리브영과 비교하면 다이소의 화제성이 잘 드러납니다. 다이소와 올리브영에 ‘화장품’ 키워드를 조합해 소셜 미디어 언급량을 비교한 결과, 올리브영의 화장품 관련 언급량은 ‘올영세일’ 행사 시즌에 급격하게 상승하는 패턴이 나타났어요. 이와 달리 다이소의 화장품 언급량은 지난 2023년 하반기부터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였고, 2024년 상반기 올리브영을 넘어섰습니다.

올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산업 등 대형 뷰티 기업에서는 다이소에 ‘세컨 브랜드’를 입점하고 있는데요. 기존 브랜드가 보유한 기술력이 제품에 대한 신뢰로 이어지면서, Z세대 소비자들의 관심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 백화점에서 다이소로, 달라진 오픈런의 의미는?

평소에 오픈런 자주 하시나요? 오픈런에 대한 관심은 계속 커지는 추세인데요. 소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LUCY 2.0을 통해 2021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의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오픈런 언급량은 지난 2022년 대비 2024년 2.3배 증가했습니다.

출처 소셜 빅데이터로 본 저소비 코어 트렌드

 

오픈런 관련 기업·브랜드 연관어 순위를 보면, 2021년 백화점·명품 브랜드가 대부분이었던 것과 달리 2022년 편의점, 2023년 다이소가 상위권에 들어섰어요. 백화점도 명품보다는 팝업이나 디저트 체험으로의 변화가 두드러졌고요. 2020년대 초만 해도 오픈런의 대상이 샤넬백이나 롤렉스 시계 같은 명품·한정판 제품이었다면, 이제 일상템·저가 상품으로 대상이 달라진 것이죠.

이런 현상은 저(低)소비 코어*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어요. 올해 초 캐릿에서는 Z세대를 대표하는 페르소나 중 하나로 ‘안티 플렉스’를 선정한 바 있는데요. 저소비 코어로 인해 욜로(YOLO)가 요노(YONO)로 변화한 것처럼 플렉스(Flex)도 안티 플렉스로 바뀐 것이죠. 핵심은 불황으로 인해 소비를 줄인다는 점보다도, 저소비가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서 Z세대에게 힙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캐릿 콘텐츠 : 플렉스는 지난 유행! 최신 소비 트렌드 ‘안티 플렉스’

*불필요한 소비를 최소화하고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

원본 데이터가 더 궁금하다면?
보고서명🔗소셜 빅데이터로 본 저소비 코어 트렌드
분석 플랫폼뉴엔AI 소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LUCY 2.0
분석 채널Social Media (Community, Blog, Cafe, X, Instagram, Youtube)
검색 기간2020년 1월 1일 ~ 2025년 3월 31일 (분석 항목에 따라 상이)
함께 살펴보면 좋은
20대연구소 자료
🔗[데이터] 소비지출 정기조사 2024
🔗[데이터] 라이프스타일 품목 소비 기획조사 2024


3. 요즘 중·고등학생은 어떤 브랜드를 좋아할까?

오늘날 중·고등학생은 Z세대에서 알파세대로 넘어가는 경계선에 있습니다. 이들이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고 어떤 브랜드를 선호하는지 알아보는 것은 향후 소비 전략을 세우는 데 있어 중요한 포인트인데요.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10대(14~18세) 중·고등학생의 소비 지출 행태를 조사했습니다.

[데이터] 10대 청소년의 여가·소비 지출·진로 인식 기획조사 2025

 

조사 결과, 성별에 따라 선호 브랜드가 꽤 다르게 나타났어요. 10대에게 평소 좋아하는 브랜드를 떠오르는 대로 최대 5개까지 물어봤는데요. 남학생은 나이키(42.9%)가 압도적인 1위였고, 아디다스(29.8%)가 큰 격차의 2위로 나타났어요. 반면 여학생은 나이키(27.9%)와 아디다스(25.1%)의 선호도가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남학생의 경우 또 다른 스포츠 브랜드인 푸마(7.3%)를 좋아한다는 응답도 7위 안에 들었고요.

나이키와 아디다스가 상위권에 위치한 데는 부모의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알파세대 탐구 보고서 2024>에서 부모의 취향과 소비가 자녀에게 전유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가령 알파세대에게 매일 들고 다니는 물건을 소개해달라고 했을 때 탬버린즈, 라네즈, 스탠리 브랜드의 물건이 등장했습니다. 부모에게 자녀가 어떤 브랜드를 좋아하는지 물었을 때 레고, 닌텐도, 디즈니 등 브랜드와 함께 나이키, 아디다스, 애플 등 성인 타깃의 브랜드가 언급되기도 했고요. 이른바 ‘텐포켓(아이를 중심으로 부모와 지인 등 10개의 주머니가 열린다는 의미)’ 시장의 힘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어릴 적 각인되는 브랜드는 계속해서 소비에 영향을 주니까요.
🔗 함께 보면 좋은 캐릿 콘텐츠 : 세대 전문가가 풀어주는 ‘알파세대 연구’ 비하인드 스토리
'앗! 여기서부터 진짜 필요한 내용인데'
캐릿 멤버십을 시작할 타이밍이에요

캐릿이 처음이신가요?

회원 가입부터 시작하기

※ 캐릿은 유료 미디어로 무단 전재와 재배포를 금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최대 10% 이상을 인용할 수 없으며 원문을 일부 인용할 경우에도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합니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 관련 콘텐츠를
더 보여드릴까요?

대학내일20대연구소 콘텐츠 모아보기
글자 크기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