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 다이소 vs 올리브영, 화장품 언급량 승자는? 2. 백화점에서 다이소로, 달라진 오픈런의 의미는? 3. 요즘 중·고등학생은 어떤 브랜드를 좋아할까? 4. 부산에서 피자, 제주에서 해장국을 찾는 이유 5. 저속노화 열풍, F&B 소비에 미친 영향은? 6. 친환경 대표 브랜드는 ○○○? 연령대별 1위 비교 |
이 콘텐츠를 꼭 읽어야 하는 분
- 2025 상반기 소비 데이터를 통해 Z세대 인사이트를 얻고 싶은 분
- 뷰티, 식생활, 여행 등 각 소비 영역에서 나타난 변화가 궁금한 분
- Z세대와 10대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를 알고 싶은 업계 관계자
1. 다이소 vs 올리브영, 화장품 언급량 승자는?

특히 뷰티 영역의 대표적인 유통 채널인 올리브영과 비교하면 다이소의 화제성이 잘 드러납니다. 다이소와 올리브영에 ‘화장품’ 키워드를 조합해 소셜 미디어 언급량을 비교한 결과, 올리브영의 화장품 관련 언급량은 ‘올영세일’ 행사 시즌에 급격하게 상승하는 패턴이 나타났어요. 이와 달리 다이소의 화장품 언급량은 지난 2023년 하반기부터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였고, 2024년 상반기 올리브영을 넘어섰습니다.
올해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애경산업 등 대형 뷰티 기업에서는 다이소에 ‘세컨 브랜드’를 입점하고 있는데요. 기존 브랜드가 보유한 기술력이 제품에 대한 신뢰로 이어지면서, Z세대 소비자들의 관심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2. 백화점에서 다이소로, 달라진 오픈런의 의미는?

이런 현상은 저(低)소비 코어*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어요. 올해 초 캐릿에서는 Z세대를 대표하는 페르소나 중 하나로 ‘안티 플렉스’를 선정한 바 있는데요. 저소비 코어로 인해 욜로(YOLO)가 요노(YONO)로 변화한 것처럼 플렉스(Flex)도 안티 플렉스로 바뀐 것이죠. 핵심은 불황으로 인해 소비를 줄인다는 점보다도, 저소비가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서 Z세대에게 힙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캐릿 콘텐츠 : 플렉스는 지난 유행! 최신 소비 트렌드 ‘안티 플렉스’
원본 데이터가 더 궁금하다면? | |
보고서명 | 🔗소셜 빅데이터로 본 저소비 코어 트렌드 |
분석 플랫폼 | 뉴엔AI 소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LUCY 2.0 |
분석 채널 | Social Media (Community, Blog, Cafe, X, Instagram, Youtube) |
검색 기간 | 2020년 1월 1일 ~ 2025년 3월 31일 (분석 항목에 따라 상이) |
함께 살펴보면 좋은 20대연구소 자료 | 🔗[데이터] 소비지출 정기조사 2024 🔗[데이터] 라이프스타일 품목 소비 기획조사 2024 |
3. 요즘 중·고등학생은 어떤 브랜드를 좋아할까?

나이키와 아디다스가 상위권에 위치한 데는 부모의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알파세대 탐구 보고서 2024>에서 부모의 취향과 소비가 자녀에게 전유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가령 알파세대에게 매일 들고 다니는 물건을 소개해달라고 했을 때 탬버린즈, 라네즈, 스탠리 브랜드의 물건이 등장했습니다. 부모에게 자녀가 어떤 브랜드를 좋아하는지 물었을 때 레고, 닌텐도, 디즈니 등 브랜드와 함께 나이키, 아디다스, 애플 등 성인 타깃의 브랜드가 언급되기도 했고요. 이른바 ‘텐포켓(아이를 중심으로 부모와 지인 등 10개의 주머니가 열린다는 의미)’ 시장의 힘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어릴 적 각인되는 브랜드는 계속해서 소비에 영향을 주니까요.
🔗 함께 보면 좋은 캐릿 콘텐츠 : 세대 전문가가 풀어주는 ‘알파세대 연구’ 비하인드 스토리
캐릿 멤버십을 시작할 타이밍이에요
캐릿이 처음이신가요?
회원 가입부터 시작하기
※ 캐릿은 유료 미디어로 무단 전재와 재배포를 금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최대 10% 이상을 인용할 수 없으며 원문을 일부 인용할 경우에도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