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t

‘배운 변태네!’ 우리 브랜드에 써먹을 수 있는 아이돌 세계관 총정리

2022.02.16 (Wed) / 5 min read

53 148 9676
이 콘텐츠를 꼭 읽어야 하는 분
- ‘아이돌 세계관에 잘 올라타서 팬덤에게 칭찬받는 브랜드가 될 수 없을까?’ 고민하는 분
- ‘일단 섭외는 했는데... 어떻게 해야 우리 콘텐츠에 아이돌 잘 활용할 수 있을까?’ 막막한 담당자

😮 10명 중 6명은 최애가 있는 시대!
여러분은 우리나라의 ‘팬덤 문화’가 어디까지 발전했다고 생각하시나요? 시장조사전문 기업인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에 의하면, 16세~64세 남녀 1,000명 대상으로 ‘팬덤 문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 좋아하는 스타가 있다고 답한 사람은 19년 37.7%에서 21년 63.4%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10명 중 6명은 최애가 있다는 말인 거죠(!).

팬덤 문화에 대한 달라진 인식 / 출처 오픈애즈

🙄 아이돌 세계관... 일부만 좋아하는 거 아니야?
나아가 세계관 문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달라졌습니다. 혹시 ‘동방신기’의 ‘정-반-합’ 세계관 기억하시는 분 있나요? 이는 철학자 헤겔의 ‘변증법 논리’를 해석한 곡이었는데요. 당시에는 이런 의견이 많았습니다. “주요 팬층이 10대인데, 이렇게 어려운 이야기가 먹힐까?” 그런가 하면 ‘엑소’의 ‘초능력 세계관(ex. 백현의 초능력: 빛)’는 어땠나요. 대부분 ‘오글거린다’라는 반응이 많았어요.

아이돌 세계관에 대한 현재 반응 (Z세대 단톡방 캡처)

하지만 지금은 분위기가 180˚ 달라졌습니다. ‘K-POP 세계관=마블 세계관’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중은 아이돌 세계관에 진심인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어요. ① 아이돌 팬이 아닌데도 특정 그룹의 세계관 정도는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고 ② 세계관에 먼저 빠져서 한 그룹의 팬이 되는 경우도 있죠. 심지어 어려운 세계관을 가진 아이돌일수록 ‘덕질하기 좋은 그룹이다’라는 반응이 있을 정도예요. 디테일한 세계관을 공부하는 재미가 있다는 거예요.

🧐 아이돌 세계관, 똑똑하게 활용해볼까?
때문에 우리는 이러한 시대 흐름에 맞춰, 아이돌 세계관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KB국민은행은 ‘에스파’의 세계관에 잘 올라타서 칭찬을 받기도 했어요. ‘국민은행은 앞으로 메타버스(=광야)에서 금융의 새 시대를 열겠다!’라면서 광고 모델인 에스파의 광야 세계관을 스토리라인에 적극적으로 활용했거든요. 자, 그렇다면 우리는 수많은 아이돌과 그 세계관을 대체 어떻게 잘,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포인트만 쏙쏙 골라 5분 과외해드리겠습니다. 집중해주세요!

목차
※ 주황색 글씨를 클릭하면 해당 내용으로 이동합니다.
아이돌 세계관, 어떤 포인트를 활용해야 ‘일 잘하네’라는 소리 들을 수 있을까?



“아이돌 세계관? 이런 포인트를 활용해보세요”


① 세계관과 연결되는 상징물을 잘 활용할 것!

✔ 상징 숫자
아이돌 세계관에서 꼭 주목해야 할 상징, 바로 ‘숫자’입니다. 그룹을 대표하는 숫자는 아이돌 세계관마다 달라요. 데뷔일이 될 수도 있고요. 멤버들의 생일이 될 수도, 뮤직비디오 공개일이 될 수도 있어요. 한 가지 예를 들어 볼까요? SM은 ‘엑소(2012 데뷔)’ 데뷔 전인 2006년, 엑소의 유튜브 채널을 미리 개설해놨습니다. 이때부터 엑소의 세계관을 만들기 시작했기 때문이에요. 이를 보고 ‘2012년에 데뷔했지만, 엑소의 세계관은 2006년에 시작된 것 같다’라는 반응을 보이는 팬들도 있어요. 즉, 엑소의 팬들에겐 데뷔일인 ‘2012’라는 숫자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2006.12.11’라는 것또한 의미 있는 숫자로 다가오는 것이죠. 

엑소 유튜브 개설일은 2006년


‘온앤오프’의 사례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이 그룹은 인간과 유사한 모습을 갖춘 로봇이라는 뜻인 ‘휴머노이드’ 세계관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멤버별로 ‘시리얼 넘버’가 있어요. 이는 뮤직비디오를 통해 공개하거나(멤버 뒷목에 바코드를 그리는 식), 앨범 발매 전 SNS에 공개하는 티저 이미지를 통해 은연중 드러낸다고 합니다.


온앤오프 티저 이미지 속 시리얼 넘버


위 이미지가 바로 온앤오프 티저에 등장하는 영수증 이미지인데요. 주황색으로 색칠해둔 부분이 보이시나요? ‘SJ-777-77’, ‘HJ-422-94’ 등의 숫자가 각 멤버들을 상징하는 시리얼 넘버랍니다. 이런 식으로 아이돌 세계관에는 반드시 멤버를 상징하거나, 팀을 상징하는 숫자가 존재하니, 눈여겨보시면 활용할 포인트가 많을 거예요.



지금 멤버십 가입하면
캐릿의 모든 콘텐츠 열람 가능!

멤버십 가입하기​

클릭하시면 같은 키워드의 콘텐츠만 모아볼 수 있습니다.

위로 이동 아이콘 좋아요
북마크하기
다시 보고 싶은 기사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하이라이트 설명
캐릿은 하이라이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저장하고 싶은 문장을 드래그해서 마킹)
사용하기

업무에 당장 써먹을 수 있는 요즘 트렌드가 궁금하다면?

  • Notice

    [당첨자 발표] 캐릿 3주년 역조공 이벤트

  • Contact Us

    원하는 주제를 건의하거나 더 궁금한 점을 문의하고 싶을 때,
    광고, 마케팅, 컨설팅 문의도 캐릿은 언제든 환영합니다.

  • About Careet

    트렌드 당일 배송 미디어 캐릿은 MZ세대 마이크로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달하기 위해 늘 최신을 다합니다.

  • FAQ

    궁금한 사항을 모아 한번에 보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