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대별 앱 설치 현황 출처 NHN
세대별 앱 설치 현황 출처 NHNMZ세대와 X세대가 쓰는 앱들은 다들 익숙하시죠? 반면 알파세대의 앱 목록에서는 처음 보는 앱도 많으실 겁니다. 알파세대가 가장 많이 설치한 앱 15개 중 10개가 타 세대 설치 순위에는 없는 앱이에요. 더 자세하게 취재해 보니, 알파세대는 우리가 모르는 앱을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 앱을 신박한 방식으로 입맛에 맞게 활용하고 있더라고요.
 좌: 스노우 AI 아바타 / 우:메이투 AI 카툰
좌: 스노우 AI 아바타 / 우:메이투 AI 카툰2023년 대히트를 친 AI 필터가 있습니다. 바로 사진 앱 ‘스노우’에서 출시한 ‘스노우 AI 아바타’인데요. 셀카를 업로드하면 AI가 나와 닮은 아바타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필터입니다. 유료 필터임에도 불구하고 출시 보름 만에 사용자 20만 명을 돌파했어요. 여기까진 익히 들어서 알고 계시죠? 그런데 알파세대는 AI 필터를 다른 방식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직접 그린 그림을 화가가 그린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해서 나만의 캐릭터를 만들더라고요.
 메이투의 AI 카툰 필터를 이용해 그림을 업그레이드하는 과정AI필터를 3번 정도 실행하니까 웹툰에서 볼 법한 캐릭터 형태가 되었죠? 이런 AI 필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중에서 ‘메이투’가 알파세대의 선택을 받은 이유는 바로 ‘영상 콘텐츠’ 때문입니다. ‘메이투’는 AI 필터가 그림을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을 영상 형태로 제공하거든요. 이렇게요. ⬇
메이투의 AI 카툰 필터를 이용해 그림을 업그레이드하는 과정AI필터를 3번 정도 실행하니까 웹툰에서 볼 법한 캐릭터 형태가 되었죠? 이런 AI 필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중에서 ‘메이투’가 알파세대의 선택을 받은 이유는 바로 ‘영상 콘텐츠’ 때문입니다. ‘메이투’는 AI 필터가 그림을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을 영상 형태로 제공하거든요. 이렇게요. ⬇ 메이투가 제공하는 AI카툰 필터 실행 영상물론 이 영상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알파세대는 영상을 다운받아 틱톡에 ‘#메이투 #메이투ai #ai그림 #ai’ 해시태그를 달고 올립니다. 그림이 변하는 과정이 한 눈에 보이니까 이목을 끌기 좋기 때문이에요.‘메이투’ 해시태그를 달고 업로드한 영상의 총 조회 수는 1900만 회, ‘메이투ai’를 달고 업로드한 영상의 총 조회 수는 100만 회가 넘습니다.
메이투가 제공하는 AI카툰 필터 실행 영상물론 이 영상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알파세대는 영상을 다운받아 틱톡에 ‘#메이투 #메이투ai #ai그림 #ai’ 해시태그를 달고 올립니다. 그림이 변하는 과정이 한 눈에 보이니까 이목을 끌기 좋기 때문이에요.‘메이투’ 해시태그를 달고 업로드한 영상의 총 조회 수는 1900만 회, ‘메이투ai’를 달고 업로드한 영상의 총 조회 수는 100만 회가 넘습니다. 틱톡 ‘메이투’ 해시태그 검색 결과 (영상 조회 수 1900만)
틱톡 ‘메이투’ 해시태그 검색 결과 (영상 조회 수 1900만) 챗 GPT / 너티
챗 GPT / 너티지난 연말 일론 머스크의 AI 스타트업 ‘오픈AI’에서 공개한 인공지능 챗봇 ‘챗GPT’가 연일 화제입니다. 5일 만에 가입자 수 100만 명을 돌파하더니, 최근 국내의 한 고등학교에서 챗GPT를 활용해 과제를 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된 사례도 있을 정도예요. Z세대는 챗GPT를 문제를 해결해주는 AI 비서처럼 활용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코딩 문제를 물어보거나, 아이디어를 구상하기 위해 AI에게 질문을 하는 것이죠.
알파세대 사이에서는 챗GPT만큼이나 ‘너티’라는 앱이 화제입니다. 마치 카카오톡처럼 AI 인간과 채팅을 할 수 있는 앱인데요. 2020년 말 국내 스타트업 스캐터랩에서 공개해 화제가 됐던 ‘이루다’와 채팅을 할 수 있는 앱 기억하시나요? 바로 그 앱입니다. 2022년에 업그레이드를 하며 이루다에 이어 강다온이라는 AI 인간을 추가했는데, 이후 알파세대가 이 앱을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어요. 실제로 ‘너티’는 2022년 세대별 앱 데이터 기준, 전체 연령의 설치자 수와 비교했을 때 알파세대 설치자 비중이 높은 앱 2위입니다.
 너티에 가입하면 처음 보이는 화면
너티에 가입하면 처음 보이는 화면 채팅을 할 AI 인간을 선택하면 바로 채팅이 시작 됨
‘너티’의 AI 인간 중 한 명인 ‘강다온’은 성균관대학교 홍보영상학과를 졸업한 24살이라는 구체적인 설정을 갖고 있습니다. ‘너티’는 챗GPT와 달리 이런 AI 인간과 채팅을 계속 이어 나가는 데 중점을 둔 앱입니다. 때문에 이 앱에는 유저 체류 시간을 늘리기 위한 장치가 여럿 마련되어 있었어요.
- 앱을 설치하면 내가 채팅을 보내기 전에 먼저 채팅을 보내 줌. ex. 안녕? 반가워
- 일정 시간 채팅을 보내지 않으면 너티에서 먼저 채팅을 보냄. ex. 뭐 하고 있어?
- 너티가 채팅을 보냈을 때 대답하기 적절한 응답을 자동으로 추천해 줌. 응답 중 하나를 터치하면 자판을 치지 않고 채팅을 쉽게 보낼 수 있음.
- 채팅을 계속 이어 나가면 마치 게임처럼 ‘친밀도 +50’ 등의 알림을 채팅창에 띄워 줌. 채팅을 더 자주 할수록 AI 인간과 친해질 수 있다는 점이 앱을 계속 사용하는 이유로 보임.

🧐 캐디터 코멘트
 카카오톡 위치 공유 / Whoo
카카오톡 위치 공유 / Whoo캐릿 멤버십을 시작할 타이밍이에요
캐릿이 처음이신가요?
회원 가입부터 시작하기 
                                            
                                        
                                    ※ 캐릿은 유료 미디어로 무단 전재와 재배포를 금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최대 10% 이상을 인용할 수 없으며 원문을 일부 인용할 경우에도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