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 1. 점원과 ‘티키타카’하는 콘셉트의 공간이 핫플로 뜸! 2. 방문객 간 ‘스몰토크 시스템’을 구축한 공간이 유행 중! 3. 배우·관객과 함께 교감할 수 있는 ‘참여형 체험 공간’이 인기몰이 중! |
이 콘텐츠를 꼭 읽어야 하는 분
- Z세대가 선호하는 의외의 소통 방식이 궁금하신 분
- Z세대 소비자는 대면 접객을 기피할 것이라고만 생각하시는 분
- 팝업스토어, 브랜드 공간의 체험 요소를 고민하고 계신 분

그런데 최근 Z세대 사이에서 기존에 우리가 알던 모습과 전혀 반대되는 경향이 발견되고 있어요. 다른 사람과의 ‘가벼운 소통’을 경험하고자 일부러 돈과 시간을 쓰는 모습이 생기고 있는 거예요. 점원과 티키타카할 수 있는 콘셉트의 가게가 핫플로 주목 받거나, 다른 방문객과 스몰토크하는 콘셉트의 펍이 유행하는 식으로요.
※ 스몰 스킨십이란? 비대면·온라인 소통을 선호하는 한편, 낯선 사람과의 가벼운 교류를 낭만적이고 특별한 경험으로 인식하는 Z세대의 경향성. |
|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로 비대면 소통이 엄청 성행했잖아요. 그러다 보니 역으로 대면 소통이 더 희귀하고 색다른 경험이라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요. 얼굴을 직접 맞대고 나누는 대화가 어떻게 보면 되게 아날로그적인 소통 방식이잖아요. 그래서 이 점에 낭만적이라고 느끼고 경험해 보려는 거예요. 요즘 인스타그램에도 일반 뮤지컬이나 공연보다는 라이브 펍, 뮤지컬 펍처럼 공연자들과 가까운 거리에서 교류하는 공간들이 뜨고 있더라고요. 한진영(27세, 취준생) |
1. 점원과 ‘티키타카’하는 콘셉트의 공간이 핫플로 뜸!
친구가 하는 카페 브이로그메뉴를 주문하자 점원이 친구처럼 자연스럽게 말을 걸어오는 모습
출처 유튜브 채널 쿠지한 KujiHan
일례로 일본 하라주쿠에 오픈한 ‘친구가 하는 카페’는 점원이 오랜 친구인 척 말을 걸어오는 콘셉트로 이슈가 되었어요. 해당 카페에 방문하면, 점원과 원래 알던 사이처럼 ‘어? 웬일이야, 오랜만이네?’ 등 반말로 말을 걸어오는데요. 메뉴명 역시, 가볍게 화두를 던질 수 있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메리카노의 메뉴명이 ‘힘이 나는 음료 마시고 싶네?’인 식이에요. 그럼 점원이 ‘오늘 되게 기운 없어 보인다’ 같은 대답을 돌려주는데요. 메뉴를 주문하면서도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게 한 거죠.
해당 카페는 2023년 개점 직후, 일본의 트렌드 미디어 ‘Trepo’가 조사한 ‘2023 상반기 Z세대 트렌드 랭킹’ 기타 아이템 부문 1위에 오를 만큼 SNS에서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1년 간의 운영 후, 해당 지점을 폐점하고 다른 콘셉트로 복귀할 것을 예고해 다시 한 번 일본 Z세대의 기대를 모았는데요.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나도 가보고 싶다’, ‘재밌어 보인다’며 주목을 받은 바 있습니다.
캐릿 멤버십을 시작할 타이밍이에요
캐릿이 처음이신가요?
회원 가입부터 시작하기
※ 캐릿은 유료 미디어로 무단 전재와 재배포를 금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최대 10% 이상을 인용할 수 없으며 원문을 일부 인용할 경우에도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