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콘텐츠를 꼭 읽어야 하는 분
- ‘요아정’을 띄운 게 ‘걸스나잇’이라는 사실을 모르셨던 분
- 10~20대 여성 소비자의 취향과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싶은 분
- 걸스나잇 트렌드를 활용한 마케팅 아이디어를 얻고 싶은 분
‘걸스나잇’이 1020 트렌드를 주도한다고?

(우) 걸스나잇 푸드로 입소문을 타며 널리 유행하게 된 요아정, 출처 요아정 공식 인스타그램요즘 유행하는 트렌드, 알고 보면 ‘걸스나잇’에서 시작된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일례로 걸스나잇에서 친구들과 콘셉트에 따라 파자마를 맞춰 입는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브랜드 ‘스파오’의 파자마가 더욱 주목받게 됐어요. 스파오는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IP와 협업한 파자마 제품을 꾸준히 선보이는데요. 신제품이 나올 때마다 ‘이거 입고 걸스나잇하고 싶다’ 같은 반응이 따라오곤 합니다. 뿐만 아니라, 디저트 프랜차이즈 ‘요아정’이나 ‘엽기 떡볶이+허니콤보’ 같은 음식 조합이 걸스나잇 푸드로 입소문을 타고 대중적인 유행으로 번지기도 하죠. 걸스나잇이 1020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는 겁니다.
Z세대 여성 다수가 즐기는 대표 문화, 걸스나잇

캐릿은 10대~20대 트렌드 디깅 크루10대, 20대 300여 명으로 구성된 캐릿의 트렌드 자문 그룹. Z세대만 아는 문화, 유행을 발 빠르게 전하는 역할을 맡고 있음. 130여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요. 그 결과, ‘최근 1~2년 사이 걸스나잇에 참여했다’고 답한 비율은 전체의 88%에 달했습니다. 또, ‘아직 없지만 해보고 싶다’라는 응답도 8%를 차지했죠. 즉, 전체 응답자의 96%가 걸스나잇을 이미 경험했거나, 앞으로 참여 의사가 있다고 밝힌 거예요. 이를 통해 걸스나잇이 Z세대 여성 다수가 즐기는 대표 문화로 자리 잡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걸스나잇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도 생겨나고 있어요.
걸스나잇에선 이벤트가 빠지지 않아요. 같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그 시간을 더 특별하게 보내려고 하죠. 그래서 SNS에서도 걸스나잇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잼컨‘재밌는 콘텐츠’의 줄임말. 상황별로 할 만한 잼컨을 추천하는 게시글이 SNS에 자주 올라오고 있음.을 소개한 게시물이 화제가 되곤 해요. 친구를 태그한 뒤, ‘우리도 해보자’라고 댓글이 달리는 것도 자주 봤어요. ‘랜덤 파자마 증정식’, ‘근황 발표회’처럼 1020 사이에서 유명한 놀이들이 걸스나잇 유행과 더불어 확산됐다고 생각해요. 신지영(23세, 대학생) |
마음 맞는 친구들과 다 같이 모여서 ‘우리 걸스나잇했다!’라고 인증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얼마나 재미있게 놀았는지, 얼마나 맛있는 걸 먹었는지 보여주는 게 포인트라고 생각해요. 그러다 보니 걸스나잇에서 더 많은 유행들이 생기고 있는 것 같고요. 버킷리스트로 친구들과 걸스나잇하는 걸 꼽는 사람들도 많아요. 정유진(25세, 취업 준비생) |
목차 |
1. ‘걸스나잇 푸드’를 보면 F&B 트렌드를 알 수 있다고? 2. 요즘 SNS에서 바이럴되는 콘텐츠? 전부 걸스나잇에서 시작됨! 3. 걸스나잇 패션이 콘텐츠로 자리 잡음 |
1. ‘걸스나잇 푸드’를 보면 F&B 트렌드를 알 수 있다고?

출처 @luvoddluv (엑스)
걸스나잇에서 즐기는 음식은 대중적인 유행으로 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요아정(요거트 아이스크림의 정석)’은 걸스나잇 푸드로 인기를 끌면서 Z세대 대표 간식으로 떠올랐죠.
걸스나잇에서는 인증샷을 남기는 것이 필수처럼 여겨지는데요. 그만큼 이 자리에서 먹는 음식이 SNS를 통해 널리 확산되곤 합니다.

출처 캐릿 트렌드 디깅 크루 안선우 님
그런가 하면, 친구들과 함께 DIY 푸드를 직접 만들어 먹는 것도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어요. ‘만드는 과정’ 자체가 하나의 콘텐츠로 통하며 주목받고 있는 겁니다. 그렇다면, 요즘 걸스나잇에서 특히 인기 있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걸스나잇 푸드를 통해 1020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F&B 트렌드를 살펴보겠습니다.
① 걸스나잇 덕분에 ’조합 푸드’가 뜨고 있다고?

캐릿 멤버십을 시작할 타이밍이에요
캐릿이 처음이신가요?
회원 가입부터 시작하기
※ 캐릿은 유료 미디어로 무단 전재와 재배포를 금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최대 10% 이상을 인용할 수 없으며 원문을 일부 인용할 경우에도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