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et

썸네일 이미지

Z세대가 용돈 쪼개가면서도 절대 포기할 수 없는 구독 서비스는?

2020.11.17 (Tue) / 5 min read

53 113 18662
여러분, ‘구독 경제’라는 말, 다들 들어보셨죠? 바야흐로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소유’하지 않고 ‘구독’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실제로 여러 전문가들이 구독 경제의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데요. 글로벌 투자은행인 크레디트스위스(CS)는 전 세계 구독 경제 규모가 200년 2,150억 달러→ 2015년 4,200억 달러로 커진데 이어, 올해 5,300억 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에 발맞춰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대기업도 구독 서비스에 뛰어 들었어요. 네이버는 지난 6월, 포인트 적립 및 콘텐츠 무료 이용 혜택을 담은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을 출시했습니다. 카카오는 11월 중순부터 가전/가구 등을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았고요. 내년 상반기 중에 콘텐츠 구독 서비스도 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자, 그럼 이쯤에서 캐릿다운 궁금증이 하나 생깁니다. ‘과연 Z세대1996년 이후 출생~2010년대 초반 출생자.도 구독 서비스를 자주 이용할까?’ 하는 의문입니다. 아직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한 10대 후반~ 20대 초반 Z세대들에게 구독 서비스 사용료는 분명 부담이 될 테니까요. 그런데 캐릿 1020 자문단과 인터뷰 한 결과, 다수의 Z세대가 구독 서비스를 이미 이용 중이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콘텐츠 유료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한 친구는 이런 답변을 남겼습니다.

제 또래 친구들은 거의 다 콘텐츠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같아요. 적어도 1개 이상 구독할 걸요? 특히 코로나 때문에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다 보니 콘텐츠 구독 서비스를 훨씬 더 자주 이용하게 됐어요. 권경희(23세, 대학생)

지난해 1월, 대학내일20대연구소 조사 결과, MZ세대1980년 초반부터 2000년대 중반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를 통칭하는 말. 10명 중 8명이 콘텐츠 구매에 돈을 쓴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이들이 유료 콘텐츠를 이용하는 주요 채널이 멜론(67.9%), 넷플릭스(40.7%), 카카오페이지(40.9%), 리디북스(36.5%)였다고 하는데요. 카카오페이지를 제외한 4개 중 3개가 구독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이라는 점이 의미심장합니다.

지금 멤버십 가입하면
캐릿의 모든 콘텐츠 열람 가능!

멤버십 가입하기​

클릭하시면 같은 키워드의 콘텐츠만 모아볼 수 있습니다.

위로 이동 아이콘 좋아요
북마크하기
다시 보고 싶은 기사를
간편하게 저장해두세요.
하이라이트 설명
캐릿은 하이라이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저장하고 싶은 문장을 드래그해서 마킹)
사용하기

업무에 당장 써먹을 수 있는 요즘 트렌드가 궁금하다면?

  • Notice

    <오늘만 무료> 서비스 종료 안내

  • Contact Us

    원하는 주제를 건의하거나 더 궁금한 점을 문의하고 싶을 때,
    광고, 마케팅, 컨설팅 문의도 캐릿은 언제든 환영합니다.

  • About Careet

    트렌드 당일 배송 미디어 캐릿은 MZ세대 마이크로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달하기 위해 늘 최신을 다합니다.

  • FAQ

    궁금한 사항을 모아 한번에 보여드립니다.